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해마다 여름이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, 모기가 전세계적으로 기승입니다. <br> <br>특히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 때문에 이 모기들은 더 빨리 성장하고, 더 오래 살게됐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 전파 위험도 덩달아 커졌습니다. <br><br>중남미 국가 페루에선 이 모기 때문에 장관이 자리에서 쫓겨났습니다. <br><br>세계를보다, 정다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 침상마다 모기장이 설치된 병원. <br><br> 모기가 퍼트리는 뎅기열 바이러스 때문에 남미 페루의 병원이 설치한 겁니다. <br><br>[크리스토발 티마나 / 페루 주민] <br>"이 동네 사람 중 약 70%가 뎅기열에 걸렸습니다." <br> <br> 페루에선 올해 들어 15만 명에 육박하는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고 이 가운데 250명 가까이 숨졌습니다. <br><br> 뎅기열 확산세 초반에 2주 정도 지나면 억제될 것이라며 안일한 자세를 보였던 보건장관은 책임을 지고 사임했습니다. <br> <br>페루 전역에는 보건 비상사태가 선포됐습니다. <br><br>모기의 습격은 미국도 예외가 아닙니다. <br><br> 대표적인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국내 감염 환자가 다시 등장한 겁니다. <br><br> 2003년 발생한 감염 환자 이후 처음으로 플로리다주와 텍사스주에서 확인돼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> <br>[데브라 하우리 /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부국장] <br>"말라리아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입니다. 20년 넘게 국내 감염 사례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" <br><br>모기 번식을 차단하기 위해 박테리아를 뿌려 유충을 박멸하는 드론까지 투입됐습니다. <br><br>[코트니 커서 / 모기 연구원] <br>"최근 들어 우리가 설치한 모기장에 하룻밤 사이 수천 마리가 잡힙니다." <br><br> 곳곳에서 모기를 매개로 한 질병 감염이 급증하는 이유로 기후 변화가 꼽힙니다.<br> <br>말라리아와 뎅기열은 4년 만에 예고된 엘니뇨로 창궐이 우려되는 열대성 전염병입니다. <br> <br>[거브러여수스 /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] <br>"기후 변화가 모기 번식과 (모기를 매개로 한) 질병의 확산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기온이 올라갈수록 모기는 더 빨리 성장합니다. <br><br>국내 연구진의 실험에 따르면 기온 18도의 환경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25일 걸리지만, 모기가 가장 좋아하는 온도인 26도에선11.5일로 줄어듭니다. <br> <br>성장 속도가 2배 넘게 빨라지는 겁니다<br><br> 지구가 뜨거워지면 모기 개체수가 급증하고 그로 인해 모기가 옮기는 감염병도 창궐할 수 있다는 이야깁니다.<br><br>해외에서 우리나라로 유입된 뎅기열 환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올해도 벌써 58명이 걸렸습니다.<br> <br> 아열대 기후로 변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과거엔 없던 질병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<br>[이동규 /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석좌교수] <br>"2050년대가 되면 우리나라 가장 추운 1월달 기온이 평균 10도 이상 될 걸로 보고 있거든요. 뎅기열이 문제가 될 수 있죠. 왜냐하면 흰줄 숲모기(뎅기열 매개 모기)가 성충으로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에…" <br><br>올 상반기 말라리아 환자는 1년 새 2배 이상 늘어 경기 김포·파주에 이어 고양시까지 경보가 내려졌습니다. <br><br> 기후변화가 생태계 변화에 이어 우리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 정다은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